GitHub Repository(리포지토리) Public / Private 변경방법
GitHub 리포지토리의 Public(공개)과 Private(비공개) 설정은 리포지토리의 접근성과 가시성에 관한 차이를 의미합니다
1. Public 리포지토리 (공개 리포지토리)
• 누구나 접근 가능: 전 세계 모든 사용자가 해당 리포지토리에 접근할 수 있습니다. 즉, GitHub 계정이 없는 사람도 코드를 볼 수 있습니다.
• 코드 공유: 리포지토리의 코드를 자유롭게 볼 수 있으며, 복제(clone)하고 포크(fork)할 수 있습니다.
• 오픈 소스: 오픈 소스 프로젝트를 관리하거나 다른 개발자와 협업하고자 할 때 사용합니다.
• 기여 가능: 다른 개발자들이 이 리포지토리에 Pull Request를 보내는 등의 기여를 할 수 있습니다. 관리자는 이러한 기여를 수락하거나 거부할 수 있습니다.
• 커뮤니티 참여: 다른 사용자가 이슈(issue)를 생성하거나 프로젝트에 대해 토론할 수 있습니다.
2. Private 리포지토리 (비공개 리포지토리)
• 제한된 접근: 리포지토리 소유자가 초대한 사용자만 해당 리포지토리에 접근할 수 있습니다. GitHub의 유료 플랜에서는 여러 사람과 협업할 수 있지만, 리포지토리를 본 사람만이 접근이 가능합니다.
• 보안 및 비밀 유지: 비공개 코드를 유지할 수 있으며, 외부 사람은 리포지토리의 존재조차 알 수 없습니다.
• 기여 제한: 오직 초대된 사용자만이 코드에 접근하고 기여할 수 있습니다.
• 기업 또는 개인 프로젝트: 아직 배포하기 전이거나 보안을 요하는 프로젝트, 또는 개인 학습 용도로 많이 사용됩니다.
선택 기준:
• Public 리포지토리는 오픈 소스 프로젝트나 다른 사람과 코드를 공유하고 싶을 때 적합합니다.
• Private 리포지토리는 아직 공개할 준비가 되지 않았거나, 비밀 유지가 필요한 프로젝트에 적합합니다.
따라서 필요에 따라 리포지토리의 공개 여부를 결정하면 됩니다!
먼저, 본인이 변경하고자 하는 리포지토리를 클릭합니다
상단의 이 부분에서 Settings 클릭 후 제일 아래로 스크롤
이렇게 Danger Zone이라는 부분에 Change repository visibility클릭 !
-> 현재 public이면 private으로 / private이면 public으로 변경됨